2025 LoL Champions Korea
최근 수정 시각: ()
- 레전드 그룹 경기:2025 LoL Champions Korea/레전드 그룹/5라운드
- 라이즈 그룹 경기:2025 LoL Champions Korea/라이즈 그룹/5라운드
→ | 미정 | → | 미정 | |
rowkeepall>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 | 2025 LoL Champions Korea |
2025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
대회 기간 | ||||||||||||||||||||||||||||||||||||||||||||||||||||||||||||||||||||||||||||||||||
주최 | ||||||||||||||||||||||||||||||||||||||||||||||||||||||||||||||||||||||||||||||||||
주관 | ||||||||||||||||||||||||||||||||||||||||||||||||||||||||||||||||||||||||||||||||||
경기장 | ||||||||||||||||||||||||||||||||||||||||||||||||||||||||||||||||||||||||||||||||||
스폰서 | ||||||||||||||||||||||||||||||||||||||||||||||||||||||||||||||||||||||||||||||||||
GOLDEN DEW | ||||||||||||||||||||||||||||||||||||||||||||||||||||||||||||||||||||||||||||||||||
중계 | ||||||||||||||||||||||||||||||||||||||||||||||||||||||||||||||||||||||||||||||||||
일정 | ||||||||||||||||||||||||||||||||||||||||||||||||||||||||||||||||||||||||||||||||||
| ||||||||||||||||||||||||||||||||||||||||||||||||||||||||||||||||||||||||||||||||||
결과 | ||||||||||||||||||||||||||||||||||||||||||||||||||||||||||||||||||||||||||||||||||
|
1. 개요2. 참가팀3. 대회 진행4. 여담5. 영상 및 삽입곡6. 주요 기록
6.1. LCK Awards
7. 관련 문서8. 둘러보기6.1.1. Player of the Split6.1.2. Regular Round MVP6.1.3. ALL LCK Team6.1.4. Head Coach of the Year6.1.5. Rookie of the Year
6.2. 우리은행 Gold King6.3. CGV Best Ceremony6.4. 펜타킬1. 개요 [편집]
FOR ONE LEGACY
2025년 4월 2일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정규 시즌에 대한 문서이다.
2. 참가팀 [편집]
rowkeepall> 파일:T1 로고.svg | |||||
rowkeepall> 2025 LCK Challengers League 참가팀 |
3. 대회 진행 [편집]
3.1. 정규 라운드 [편집]
3.1.1. 1-2라운드 [편집]
3.1.1.1. Road to MSI [편집]
3.1.2. 3-5라운드 [편집]
3.2. 플레이-인 [편집]
3.3. 플레이오프 [편집]
3.3.1. 승자조 [편집]
3.3.2. 패자조 [편집]
3.4. 결승전 [편집]
4. 여담 [편집]
4.1. 대회 포맷 변경 [편집]
2025 LCK 변경점 |
2025 시즌부터 LoL e스포츠 전체의 포맷 변경에 맞춰 대회 방식이 크게 변경되었다. 최대한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4.1.1. 정규 라운드 [편집]
4.1.1.1. 1-2라운드 [편집]
기존 스플릿과 같이 Bo3 더블 라운드 로빈으로 진행하며, 각 팀 상대로 홈/어웨이[14] 1회씩 가진다. 상위 6팀이 MSI 선발전인 Road to MSI에 진출한다.
4.1.1.1.1. Road to MSI (MSI 선발전) [편집]
해당 사진에서 "R1[15] WINNER"가 1시드로, "R5 WINNER"가 2시드로 MSI에 진출한다. |
MSI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도입된 선발전으로, 정규 2라운드 종료 직후에 진행된다. 엄밀하게는 LCK컵이나 이전에 진행되던 월즈 선발전과 같이 LCK 정규 시즌(정규 라운드, 플레이-인, 플레이오프)에 포함되지 않는 별개의 대회이다. 하지만 정규 1~2라운드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대부분 (플레이오프로 인식하는 등) 정규 시즌과 같이 엮이기에, 2025 LCK 정규 시즌 문서에 함께 서술한다.
이와 유사한 성격의 대회로 과거 2021년 LCS에서 진행되었던 Mid-Season Showdown이 있지만, Mid-Season Showdown과 달리 '우승'이라는 타이틀이 걸려있지 않다. 그리고 오직 MSI 진출팀 선발만을 목적으로 진행되고 해당 선발전에서 별도 순위를 결정하지 않기 때문에, 6위 팀이 업셋을 일으켜서 MSI에 진출하더라도 후반기 스플릿 리그에서 라이즈 그룹으로 배정된다.
정규 시즌 2라운드까지의 성적을 기준으로 1~6위 팀이 출전하며,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총 5경기가 있으며, 이 중 3라운드[R1]는 1위와 2위가 맞붙어 승리 팀은 곧바로 1번 시드 자격을 얻고 MSI에 진출한다.
그 외 라운드는 2020 LCK 서머 플레이오프 때까지 사용했던 계단식 플레이오프, 일명 '킹 오브 더 힐(King of the Hill)' 방식으로 진행한다. 1라운드[R2]에서 5위와 6위가 맞붙고, 1라운드[R2] 승리 팀이 2라운드[R3]에서 4위와 맞붙는다. 동일한 방식으로 2라운드[R3] 승리 팀이 4라운드에서 3위와 맞붙고, 4라운드 승리 팀이 3라운드[R1] 패배 팀과 최종전(5라운드, R5)을 치른다.
스프링 플레이오프를 대체하는 성격의 대회인 만큼 3-4라운드 및 최종전 경기는 지방 투어 형식으로 치를 계획이다. 실제로 부산 사직실내체육관이 개최지로 정해졌으며, 이에 따라 전반기 1위부터 3위까지는 정규 시즌 2라운드 종료 후 바로 롤파크를 떠나 부산으로 간다.
한편 3월 열린 2025 FST에서 한화생명이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Road to MSI를 통해 MSI 진출권을 확보한 2팀은 모두 플레이-인을 생략하고 브래킷 스테이지로 직행하게 된다.
이와 유사한 성격의 대회로 과거 2021년 LCS에서 진행되었던 Mid-Season Showdown이 있지만, Mid-Season Showdown과 달리 '우승'이라는 타이틀이 걸려있지 않다. 그리고 오직 MSI 진출팀 선발만을 목적으로 진행되고 해당 선발전에서 별도 순위를 결정하지 않기 때문에, 6위 팀이 업셋을 일으켜서 MSI에 진출하더라도 후반기 스플릿 리그에서 라이즈 그룹으로 배정된다.
정규 시즌 2라운드까지의 성적을 기준으로 1~6위 팀이 출전하며,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총 5경기가 있으며, 이 중 3라운드[R1]는 1위와 2위가 맞붙어 승리 팀은 곧바로 1번 시드 자격을 얻고 MSI에 진출한다.
그 외 라운드는 2020 LCK 서머 플레이오프 때까지 사용했던 계단식 플레이오프, 일명 '킹 오브 더 힐(King of the Hill)' 방식으로 진행한다. 1라운드[R2]에서 5위와 6위가 맞붙고, 1라운드[R2] 승리 팀이 2라운드[R3]에서 4위와 맞붙는다. 동일한 방식으로 2라운드[R3] 승리 팀이 4라운드에서 3위와 맞붙고, 4라운드 승리 팀이 3라운드[R1] 패배 팀과 최종전(5라운드, R5)을 치른다.
스프링 플레이오프를 대체하는 성격의 대회인 만큼 3-4라운드 및 최종전 경기는 지방 투어 형식으로 치를 계획이다. 실제로 부산 사직실내체육관이 개최지로 정해졌으며, 이에 따라 전반기 1위부터 3위까지는 정규 시즌 2라운드 종료 후 바로 롤파크를 떠나 부산으로 간다.
한편 3월 열린 2025 FST에서 한화생명이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Road to MSI를 통해 MSI 진출권을 확보한 2팀은 모두 플레이-인을 생략하고 브래킷 스테이지로 직행하게 된다.
4.1.1.2. 3-5라운드 [편집]
3라운드부터는 K리그1의 파이널 라운드 제도나 지난해 LPL 서머의 등봉조-열반조 시스템과 비슷한 스플릿 시스템이 도입된다. 2라운드까지의 성적을 기준으로 상위 5팀이 '레전드 그룹(Legend Group)', 하위 5팀이 '라이즈 그룹(Rise Group)'에 묶이며, 팀들은 같은 조에 묶인 팀들하고만 경기를 치른다.[22] Bo3 그룹별 트리플 라운드 로빈으로 진행하며, 3~4라운드는 그룹 내 모든 팀 상대로 홈/어웨이 1회씩 가지고 5라운드는 총 4경기 중 홈 2경기, 어웨이 2경기를 가진다. 5라운드에서 어느 팀을 상대로 홈을 가질지는 무작위로 결정된다.
단일 시즌이었던 2021 LCS와 마찬가지로 1-2라운드 성적은 3-5라운드에서도 누적 집계된다. 즉 한 팀이 한 시즌에 치르는 정규 라운드 경기 수는 총 30경기로, 이 30경기 승패 결과에 따라 각 조별로 정규 라운드 순위가 확정되며 순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단일 시즌이었던 2021 LCS와 마찬가지로 1-2라운드 성적은 3-5라운드에서도 누적 집계된다. 즉 한 팀이 한 시즌에 치르는 정규 라운드 경기 수는 총 30경기로, 이 30경기 승패 결과에 따라 각 조별로 정규 라운드 순위가 확정되며 순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5 LoL Champions Korea 최종 순위 별 전개 | |
파일:LCK 레전드 그룹 심볼.svg 레전드 그룹 | |
1위 | 플레이오프 2라운드 직행 |
2위 | |
3위 | 플레이오프 1라운드 직행 |
4위 | |
5위 | 플레이-인 진출 |
파일:LCK 라이즈 그룹 심볼.svg 라이즈 그룹 | |
1위 | 플레이-인 진출 |
2위 | |
3위 | |
4위 | 시즌 종료 |
5위 |
4.1.2. 플레이-인 [편집]
플레이-인은 4팀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2팀을 선발한다. 승자조 경기 승리 팀은 5번 시드, 최종전 승리 팀은 6번 시드를 받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4.1.3. 플레이오프 [편집]
플레이오프 역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6팀이 참여하여 LCK 시즌 챔피언을 가린다. 진행 방식의 큰 틀은 2024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Championship과 동일하며, 상대 지목권(1라운드 3위의 지목권 없음, 2라운드 1위의 지목권은 1라운드 승자가 결정되기 전에 지목), 진영 선택권(코인 토스 없음) 등에서 세부적인 차이는 있다.
특이한 점으로 승자조 2라운드에서 패배한 2팀의 경우 한 팀은 패자조 2라운드로 가고 다른 한 팀이 패자조 3라운드로 가게 되는데, 무조건 정규 라운드 성적 순위가 높은 팀이 3라운드에 배정된다. 1~4번 시드는 정규 라운드 순위가 곧 시드이므로 상관없으나 5/6번 시드는 스플릿 라운드에서의 결과에 따라 오히려 6번 시드의 정규 라운드 성적이 더 좋은 사례가 나올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6번 시드 팀이 패자조 3라운드로, 5번 시드 팀이 패자조 2라운드로 진출한다.
아울러 이번 해부터 월즈 선발전이 폐지되고 플레이오프로 일원화되면서 플레이오프 최종 순위가 그대로 월즈 시드 순번으로 이어진다. 만약 LCK가 MSI에서 최상위 리그 또는 차상위 리그가 되어 4개 시드를 확보할 경우 레전드 그룹 1위 팀은 최소 4위가 확보되기에 월즈 진출이 확정되고[23], MSI 챔피언도 레전드 그룹 4위 안에만 들어도 월즈 진출이 확정된다. 하지만 MSI 우승팀이더라도 라이즈 그룹 하위 2팀 안에 들거나[24]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넘지 못하면 그대로 시즌이 종료된다.[25]
특이한 점으로 승자조 2라운드에서 패배한 2팀의 경우 한 팀은 패자조 2라운드로 가고 다른 한 팀이 패자조 3라운드로 가게 되는데, 무조건 정규 라운드 성적 순위가 높은 팀이 3라운드에 배정된다. 1~4번 시드는 정규 라운드 순위가 곧 시드이므로 상관없으나 5/6번 시드는 스플릿 라운드에서의 결과에 따라 오히려 6번 시드의 정규 라운드 성적이 더 좋은 사례가 나올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6번 시드 팀이 패자조 3라운드로, 5번 시드 팀이 패자조 2라운드로 진출한다.
아울러 이번 해부터 월즈 선발전이 폐지되고 플레이오프로 일원화되면서 플레이오프 최종 순위가 그대로 월즈 시드 순번으로 이어진다. 만약 LCK가 MSI에서 최상위 리그 또는 차상위 리그가 되어 4개 시드를 확보할 경우 레전드 그룹 1위 팀은 최소 4위가 확보되기에 월즈 진출이 확정되고[23], MSI 챔피언도 레전드 그룹 4위 안에만 들어도 월즈 진출이 확정된다. 하지만 MSI 우승팀이더라도 라이즈 그룹 하위 2팀 안에 들거나[24]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넘지 못하면 그대로 시즌이 종료된다.[25]
4.2. 홈그라운드 게임 [편집]
4.3. 그 외 [편집]
- 하루에 두 경기씩 진행되는 정규 라운드의 두 경기 사이 대기 시간이 30분 단축된다. 이에 따라 두 번째 경기의 최소 진행 시작 시각이 평일 19시 30분에서 19시로, 주말 17시 30분에서 17시로 변경된다. #
- 지난 2년 동안 LCK 해설로 활동했던 정노철이 2025년부터 LPL의 Weibo Gaming TapTap 감독으로 활동하게 되어 LCK 해설에서 하차, 강형우 LCK 분석위원도 개인 방송에 집중하기 위해 하차하였으며, 후임으로 은퇴 후 해설자로 전향한 이채환이 합류하였다.
- 시즌 개막 전인 2024년 12월 27일 포스코가 공식 파트너로 합류하여 LCK를 후원하게 되었다.
- 7월 16일부터 7월 20일까지 2025 EWC가 개최되고, LCK에선 EWC 디펜딩 챔피언 T1과 젠지와 한화생명, 총 3팀이 참여한다. 다만 MSI가 끝나고 바로 다음 주에 진행되기에 서머 중에 1주간 휴식기를 가졌던 작년과는 달리 올해는 리그 일정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유니세프한국위원회와 업무 협약을 맺어 2025년 4월 21일부터 27일까지 '유니세프 위크'를 운영하고, 4월 21일에는 10개 팀 선수들이 한 명씩 참가하는[31] LCK와 유니세프가 함께하는 생명을 구하는 하루 이벤트를 개최하였다.
5. 영상 및 삽입곡 [편집]
2025 LCK Opening Title BGM: Patrick Cunningham, Emily Mcdonald - Stronger # |
6. 주요 기록 [편집]
6.1. LCK Awards [편집]
6.1.1. Player of the Split [편집]
→ | → |
순위 | 선수 | ID | 소속 팀 | 포지션 | 누적 점수 | 챔피언 | |||||||||||||||||||||||||||||||||||||||||||||||||||||||||||||||||||||||||||||||||||||||||||||||||||||||||||||||||||||||||||||||||||||||||||||||||||||||||||||||||||||||||||||||||||||||||||||||||||||||||||||||||||||||||||||||||||||||||||||||||||||||||||||||||||||||||||||||||||||||||||||||||||||||||||||
Chovy | 1,300pts | ||||||||||||||||||||||||||||||||||||||||||||||||||||||||||||||||||||||||||||||||||||||||||||||||||||||||||||||||||||||||||||||||||||||||||||||||||||||||||||||||||||||||||||||||||||||||||||||||||||||||||||||||||||||||||||||||||||||||||||||||||||||||||||||||||||||||||||||||||||||||||||||||||||||||||||||||||
2 | Keria | 700pts | |||||||||||||||||||||||||||||||||||||||||||||||||||||||||||||||||||||||||||||||||||||||||||||||||||||||||||||||||||||||||||||||||||||||||||||||||||||||||||||||||||||||||||||||||||||||||||||||||||||||||||||||||||||||||||||||||||||||||||||||||||||||||||||||||||||||||||||||||||||||||||||||||||||||||||||||||
2 | Viper | 700pts | |||||||||||||||||||||||||||||||||||||||||||||||||||||||||||||||||||||||||||||||||||||||||||||||||||||||||||||||||||||||||||||||||||||||||||||||||||||||||||||||||||||||||||||||||||||||||||||||||||||||||||||||||||||||||||||||||||||||||||||||||||||||||||||||||||||||||||||||||||||||||||||||||||||||||||||||||
2 | Zeus | 700pts | |||||||||||||||||||||||||||||||||||||||||||||||||||||||||||||||||||||||||||||||||||||||||||||||||||||||||||||||||||||||||||||||||||||||||||||||||||||||||||||||||||||||||||||||||||||||||||||||||||||||||||||||||||||||||||||||||||||||||||||||||||||||||||||||||||||||||||||||||||||||||||||||||||||||||||||||||
5 | Bdd | 600pts | |||||||||||||||||||||||||||||||||||||||||||||||||||||||||||||||||||||||||||||||||||||||||||||||||||||||||||||||||||||||||||||||||||||||||||||||||||||||||||||||||||||||||||||||||||||||||||||||||||||||||||||||||||||||||||||||||||||||||||||||||||||||||||||||||||||||||||||||||||||||||||||||||||||||||||||||||
5 | ShowMaker | 600pts | |||||||||||||||||||||||||||||||||||||||||||||||||||||||||||||||||||||||||||||||||||||||||||||||||||||||||||||||||||||||||||||||||||||||||||||||||||||||||||||||||||||||||||||||||||||||||||||||||||||||||||||||||||||||||||||||||||||||||||||||||||||||||||||||||||||||||||||||||||||||||||||||||||||||||||||||||
|
6.1.2. Regular Round MVP [편집]
6.1.3. ALL LCK Team [편집]
6.1.4. Head Coach of the Year [편집]
6.1.5. Rookie of the Year [편집]
6.2. 우리은행 Gold King [편집]
주차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획득량 |
1 | Jiwoo | 19,189 | |||
2 | Zeka | 14,671 | |||
3 | Aiming | 15,844 | |||
4 | 15,665 | ||||
5 | Diable | 16,164 | |||
6 | Viper | 16,038 | |||
7 | Aiming | 17,031 | |||
8 | Ruler | 17,293 | |||
9 | LazyFeel | 15,680 | |||
10 | Viper | 16,182 | |||
11 | Aiming | 18,689 | |||
12 | Viper | 17,419 | |||
13 | Gumayusi | 15,698 |
6.3. CGV Best Ceremony [편집]
주차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rowkeepall> 1 | ||||
rowkeepall> 2 | Peanut | |||
rowkeepall> 3 | ShowMaker | |||
rowkeepall> 4 | Kingen | |||
rowkeepall> 5 | Oner | |||
rowkeepall> 6 | Gumayusi | |||
rowkeepall> 7 | Peter | |||
rowkeepall> 8 | Pony | 해설 겸 분석관 | ||
rowkeepall> 9 | ShowMaker | |||
rowkeepall> 10 | Gumayusi | |||
rowkeepall> 11 | ShowMaker | |||
rowkeepall> 12 | Kellin | |||
13 | BuLLDoG |
6.4. 펜타킬 [편집]
순서 | 이름(ID) | 소속 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 팀 | 기록일 | 경기 |
rowkeepall> 1 | 전시우 (Siwoo) | 2025.04.18 | |||||
rowkeepall> 2 | 김건우 (Zeka) | 2025.04.19 | |||||
rowkeepall> 3 | 변정현 (Hype) | 2025.05.04 | |||||
rowkeepall> 4 | 남대근 (Diable) | 2025.05.07 | |||||
rowkeepall> 5 | 이상혁 (Faker) | 2025.05.08 | |||||
rowkeepall> 6 | 김민성 (GIDEON) | 2025.05.11 | |||||
rowkeepall> 7 | 최용혁 (Lucid) | 2025.05.16 | |||||
rowkeepall> 8 | 김하람 (Aiming) | 2025.05.16 | |||||
rowkeepall> 9 | 정지훈 (Chovy) | 2025.05.21 | |||||
rowkeepall> 10 | 박재혁 (Ruler) | 2025.07.23 | |||||
rowkeepall> 11 | 박도현 (Viper) | 2025.07.26 | |||||
rowkeepall> 12 | 전시우 (Siwoo) | 2025.08.14 |
1년 2시즌제가 적용되던 작년까지의 종전 최다 기록은 2020 스프링의 8회였는데, 올해 2라운드까지 펜타킬이 9번이나 나오는 등 펜타킬이 굉장히 많이 등장하고 있다.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는 대체로 바텀 라인에 치중되어 있던 펜타킬 비중이 미드와 정글, 심지어 탑까지 고루 등장한다는 점이다.
7. 관련 문서 [편집]
8. 둘러보기 [편집]
[1] 2025 LCK 로드쇼 (정규 라운드 5주차 - 5/3, 5/4)[2] T1 홈그라운드 (정규 라운드 10주차 - 7/25, 7/27), T1 주최[3] 플레이오프 결승 진출전[재방송] 밤 11시 당일 경기 재방송[결승전] [분석] 6.1 6.2 6.3 분석 데스크 겸직[9] 2020년 이전에 사용되었던 계단식 플레이오프 방식[10] 우선 1~2라운드 1위와 2위의 맞대결에서 승리한 팀이 MSI 1번 시드가 된다. 그리고 해당 경기 패자 및 3~6위는 순위에 따라 계단식 플레이오프 시드를 받고, 최종전에서 승리한 팀이 MSI 2번 시드가 된다.[11] MSI 선발전과는 관계없으며, 전반기 6위 팀은 선발전을 뚫고 MSI에 진출하더라도 후반기에 하위 그룹에 편성된다.[12] 라운드만 다를뿐 엄연히 하나의 정규 시즌이기 때문에 전반기 성적이 그대로 계승된다.[13] 상위 그룹 상위 2팀은 플레이오프 R2에 직행하고, 패자조 경기는 킹 오브 더 힐 방식으로 진행한다.[14] 홈팀이 1세트 진영 선택권을 가진다.[15] 영상 공개일(10월 29일) 기준. 이후에 공개된 공식 규정집(12월 17일)에는 '3라운드(R3)'로 규정하고 있다.[R1] 16.1 16.2 위 사진에서는 'R1(1라운드)'에 해당[R2] 17.1 17.2 위 사진에서는 'R2(2라운드)'에 해당[R3] 19.1 19.2 위 사진에서는 'R3(3라운드)'에 해당[22]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불려졌던 상위권 서부 리그 - 하위권 동부 리그가 각각 레전드 그룹 - 라이즈 그룹이라는 이름으로 공식화됐다고 보면 된다. 마침 두 그룹의 이름 첫 글자도 왼쪽을 뜻하는 Left와 오른쪽을 뜻하는 Right의 첫 글자와 동일하다.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은 아니지만 LPL의 전례를 따라 레전드는 페이커의 우승 서사를, 라이즈는 앰비션의 우승 서사에서 따온 것이 거의 확실시되며 이를 보여주듯이 레전드 그룹의 컬러는 SKT의 상징색인 주황색, 라이즈 그룹의 컬러는 삼성의 상징색인 파란색이다.[23] 단, MSI 챔피언이 5,6위가 아닐 것[24] 이 경우는 스플릿 2(R1-2)에서 6위를 기록해 RtM에서 도장깨기로 MSI에 진출 후, MSI에서 우승을 하고 돌아와서 남은 스플릿 리그(R3-5 라이즈 그룹)에서 추락을 하는 매우 극단적인 시나리오에서만 가능하다.[25] 이 경우는 레전드 그룹 5위를 기록하거나, 라이즈 그룹 1~3위를 기록해 플레이-인 스테이지로 간 후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탈락하는 경우 발생한다.[26] 2라운드 5주차 토요일과 일요일에 해당하는 날짜이다.[27] KT의 경우 지난 2024 서머 1라운드 T1 홈 그라운드 경기를 계획할 당시에 본인들도 홈으로서 경기를 치른다고 밝혔기 때문에 홈&어웨이 경기를 할 경우 T1과의 경기가 진행되는 것이 반쯤 확정이었다.[28] 3라운드 1주차 금요일[29] 3라운드 1주차 일요일[30] 7월 26일에도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T1 발로란트 팀이 VCT Pacific 스테이지 2 제타 디비전과의 홈그라운드 경기를 치른다. 또한 25일과 27일 LCK 경기 이전에는 T1 2군이 2025 LCK CL 3라운드 경기를 치르며 25일 경기 상대는 젠지 2군, 27일 경기 상대는 DRX 2군이다.[31] BFX Clear, BRO Hype, DK ShowMaker, DNF Pyosik, DRX Rich, GEN Canyon, HLE Zeka, KT Peter, NS GIDEON, T1 Keria[32] 아리, 아지르 → 아지르, 갈리오, 빅토르 → 아지르, 빅토르, 라이즈 → 아리, 빅토르 → 탈리야, 사일러스 → 아리, 갈리오 → 탈리야, 코르키 → 아리, 갈리오 → 아지르, 갈리오 → 아지르, 흐웨이, 레넥톤 → 세트, 아리 → 갈리오, 라이즈 → 애니, 갈리오, 코르키[A] 33.1 33.2 33.3 33.4 33.5 만장일치 POM 1회[34] 알리스타, 라칸 → 그라가스, 라칸 → 니코, 라칸, 쓰레쉬 → 뽀삐, 바드 → 니코, 라칸 → 알리스타, 뽀삐 → 바드, 블리츠크랭크[35] 바루스, 칼리스타, 진 → 칼리스타, 이즈리얼 → 진, 칼리스타 → 바루스, 코르키 → 루시안, 카이사 → 자야, 카이사 → 유나라, 카이사[37] 제이스, 암베사, 잭스 → 럼블, 니달리 → 럼블, 잭스 → 그웬, 케넨 → 제이스, 니달리 → 케넨, 블라디미르 → 사이온, 그웬[B] 38.1 38.2 만장일치 POM 2회[39] 사일러스, 빅토르, 아리 → 라이즈, 탈리야 → 요네, 라이즈 → 아지르, 라이즈, 신드라 → 탈리야, 아리 → 탈리야, 오로라[40] 아리, 탈리야, 아지르 → 아리, 아지르 → 아리, 라이즈, 빅토르 → 트위스티드 페이트, 오리아나 → 트위스티드 페이트, 아지르, 사일러스 → 탈리야, 라이즈[41] 나피리, 세주아니, 릴리아 → 신 짜오, 판테온 → 신 짜오, 바이 → 판테온, 세주아니 → 신 짜오, 나피리, 탈론[43] 루시안, 트리스타나 → 진, 카이사, 루시안 → 코르키, 이즈리얼 → 코르키, 카이사 → 코르키, 이즈리얼, 루시안[44] 신 짜오, 녹턴, 나피리 → 오공, 신 짜오, 트런들 → 신 짜오, 바이, 니달리 → 오공, 마오카이[45] 사이온, 그웬, 카밀 → 제이스, 라이즈 → 오로라, 크산테 → 그웬, 레넥톤[46] 아이번, 스카너, 나피리 → 신 짜오, 아이번 → 세주아니, 리 신, 나피리 → 신 짜오, 트런들, 판테온[47] 오로라, 탈리야, 사일러스 → 요네, 아리, 탈리야 → 요네, 아리[48] 니달리, 오공 → 오공, 니달리, 자르반 4세 → 오공, 비에고, 트런들[49] 이즈리얼, 자야, 징크스 → 유나라, 진 → 제리, 카이사, 진[50] 세주아니, 녹턴 → 뽀삐, 스카너, 녹턴 → 세주아니, 뽀삐, 릴리아[51] 애니비아, 니달리 → 제이스, 아트록스, 암베사 → 럼블, 제이스[53] 나피리, 오공, 스카너 → 나피리, 비에고 → 바이, 오공[55] 그웬, 암베사 → 오로라, 아트록스, 암베사 → 오로라, 암베사[56] 아지르, 라이즈, 아칼리 → 요네, 사일러스 → 사일러스, 아리[57] 시비르, 코르키 → 코르키, 진[58] 라이즈, 아지르 → 아지르, 아칼리, 코르키[59] 신 짜오, 판테온 → 신 짜오, 판테온[60] 제이스, 레넥톤, 잭스 → 그웬, 레넥톤[61] 요릭, 럼블 → 암베사, 요릭[62] 브라움, 알리스타 → 알리스타, 렐[63] 탈리야, 라이즈, 빅토르 → 빅토르, 아리[64] 미스 포츈, 루시안 → 진, 시비르[65] 제이스, 아트록스 → 그웬, 요릭, 제이스[66] 루시안, 카이사, 이즈리얼 → 진, 세나, 제리[67] 알리스타, 니코[68] 유나라, 세나, 카이사[69] 알리스타, 마오카이[70] 아리, 라이즈, 애니[71] 진, 미스 포츈, 징크스[72] 암베사, 럼블, 사이온[73] 세주아니, 오공, 나피리[74] 카이사, 코르키, 시비르[75] 카이사, 제리[77] 뽀삐, 렐, 알리스타[78] 카이사, 이즈리얼, 세나[79] 엘리스, 쉔, 레오나[80] 뽀삐, 니달리[81] 니코, 뽀삐[82] 뽀삐, 니코[83] 트런들, 오공, 헤카림[84] 녹턴, 릴리아, 뽀삐[85] 오로라, 탈리야[86] 아지르, 오리아나[87] Smeb, Peanut, Kuro, PraY[88] Zeus, Peanut, Zeka, Viper, Delight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